본문 바로가기
질문답변

당신 뇌의 ‘위기관리센터’를 쉬게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지맘 작성일23-10-05 02:49 조회478회 댓글0건

본문

매일 너무 많은 정보를 처리하느라 지친 우리 뇌로 인해, 우린 까닭없는 불안, 우울, 분노, 두려움 등 부정적 감정에 포로가 되고 있다



“전시체제 돌입!”

즉시 자율신경계 중 교감신경계가 주도권을 잡고 나선다. 전투를 위해 근육을 긴장시키고 필요한 에너지를 총동원한다. 심장이 벌떡벌떡 뛰고 호흡이 빨라지며 스트레스 호르몬이 마구 방출되는 이유다.

대개 상황은 몇분 후 종료된다. 재수 없게 잡아먹히면 그것으로 끝! 그러나 싸워 이기거나, 잘 도망쳤다면 교감신경계는 뒤로 물러서고 부교감신경계가 나서서 이완・평정・휴식을 제공해 몸을 정상 상태로 되돌린다.

이것이 신경생리학적 측면에서 인간과 동물의 생존양태다. 원시시대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 위기 상황에서 가장 활약하는 것이 대뇌 변연계에 위치한 ‘편도체(amygdala)’다. 우리 몸의 ‘위기관리센터’로 이곳에서 위기라고 감지하면, 바로 내부로 전달돼 교감신경계를 흥분시키고, 상황에 돌입한다. 따라서 편도체가 잘 작동할수록 위기 상황 대처도 탁월해진다.



문제는 편도체가 과잉활성화돼 있을 때다. 21세기 정보화시대에서 너무 빠른 속도의 삶, 너무 많은 정보량을 접하면서 살다보니 우리의 편도체는 24시간 종일 쉬지 못하고 일한다.

하루에도 수없이 위기신호를 내보면서 두려움·분노·불안·공격성 등 부정적 감정을 증폭시킨다. 이에 따라 우리 심신 역시 종일 부정적 정서, 분노, 짜증, 불안, 우울 등에 시달리고 있다.

편도체도 과부하되다보니 오작동도 늘어난다. 이른바 뇌의 ‘예측 오류다. 비유하자면 보슬비가 내리는데 폭우로, 산들바람이 부는데 태풍으로 감지해 일기예보(경보)를 발령하는 격이다.



그러다보니 별것도 아닌 일에 화들짝 놀라고, 웃고 넘어갈 일에도 화를 내고 으르렁 거리게 된다.

과거 농경사회나 산업화사회와 비교해볼 때 인간관계가 왜 더욱 삭막해질까. 꼭 당신이나 상대방의 ‘관계’나 ‘인성(人性)’의 문제로만 보지 말라.

어쩌면 당신의 편도체가 쉬지 못해 생긴 결과일 수 있다. 내가 스스로 짜증나고 부정적인 마음투성이인데 타인이 살갑게 느껴지겠는가. 내가 검은 안경을 쓰고 있는데 사물이 밝게 보이겠는가. 지금 만연하고 있는 정치・사회의 숱한 갈등 대립도 같은 이유로 설명될 수 있다.

# 편도체를 쉬게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방법은 부교감신경계가 하는 일을 의식적으로, 의도적으로 자주 하는 것이다.

가장 빠른 방법은 심호흡이다. 자율신경계 중 유일하게 인간이 관여할 수 있는 것이 호흡이다. 호흡을 천천히 깊게 할수록 신경생리학적으로 몸과 마음은 자동적으로 이완된다. 비상사태 종료를 알리고 평시체제를 회복시키는 조치다. 동서고금 모든 마음수련의 기본이 호흡에서 비롯된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두 번째는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다.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다.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 역시 상황이 정상화됐다는 신호를 몸에 보내준다. 스스로 공이나 기구를 이용해 마사지를 할 수 있다. 특히 굳은 얼굴을 풀어주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경직됐던 얼굴근육을 이완시키면 바로 뇌(편도체)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웃음요법도 있다.

물론 가장 확실한 방법은 명상이다. 호흡을 통해 심신을 이완시키는 한편, 마음을 집중시켜, 뇌 편도체를 가장 확실하게 쉬게 만드는 최상의 방법이다.

그리고 모든 운동은 신체 감각을 일깨우고 신체기관을 활성화시켜 편도체 안정화에 도움이 된다. 그중에서도 특히 효과가 큰 것은 단전호흡, 요가, 태극권, 고대 진자 운동(케틀벨, 페르시안 밀, 메이스벨) 등 소마틱 운동들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고성펜션협회 정보

회사명. 강원도 농어촌민박고성협회
주소.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소똥리마을길 53
비영리단체법인 등록고유번호 227-80-11803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영학
Copyright © 2001-2018 강원도 농어촌민박고성협회 . All Rights Reserved.

CS CENTER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소똥리마을길 53